WIREGUARD 분할터널링 지원하는 클라이언트 TunnlTo


WIREGUARD란?

WireGuard는 성능과 사용 편의성으로 인해 인기를 얻은 최신 오픈 소스 VPN 프로토콜입니다.

OpenVPN 또는 IPSec와 같은 기존 VPN 프로토콜과 달리 WireGuard는 빠르고 가벼우며

안전하도록 설계되어 개인 및 기업 용도 모두에 탁월한 선택입니다.

 

단순성: WireGuard의 코드베이스는 다른 VPN 프로토콜보다 훨씬 작기 때문에 감사가 더 쉽고
           잠재적인 보안 취약점이 줄어듭니다.
성능: WireGuard는 고속 성능으로 유명하며, 
        특히 대기 시간이 긴 네트워크에서 기존 VPN 프로토콜보다 성능이 뛰어난 경우가 많습니다.
보안: 최첨단 암호화를 사용하여 이전 프로토콜의 오버헤드 없이 강력한 보안을 보장합니다.
교차 플랫폼 지원: WireGuard는 Linux, Windows, macOS, iOS 및
                        Android를 포함한 다양한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속도: WireGuard는 성능을 염두에 두고 제작되었습니다.
        가벼운 특성 덕분에 다른 VPN 프로토콜에 비해 더 빠르게 연결하고 더 낮은 대기 시간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사용 편의성: 기술적인 측면에 관심이 없는 사람이라도 WireGuard를 설정하는 것은 간단합니다.
                  구성 프로세스는 다른 VPN 솔루션보다 간단하고 직관적입니다.
보안: WireGuard는 최신 암호화 기술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보안을 보장합니다.
        간결한 코드베이스로 인해 공격 표면이 최소화되어 취약점이 발생할 가능성이 줄어듭니다.
리소스 효율성: WireGuard의 효율성은 리소스 소비가 적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처리 능력이나 배터리 수명이 제한된 장치에 이상적입니다.

 

클라이언트 TunnlTo 다운로드 및 설치

TunnlTo는 아래의 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하러 가기

 

 

위와 같이 msi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 합니다.

 

 

 

 

설치가 완료된 후 WireSock가 설치 되어 있지 않으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Install WireSock를 눌러 설치 합니다.

 

 

 

설치가 진행중 입니다.

 

 

TunnlTo 설치 및 설정

TunnlTo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서 Create Tunnel을 눌러 설정을 진행 합니다.

 

 

 

설정화면이 나오는데 설정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습니다.

첫번째 방법은 수동으로 Local Interface와 Remote Peer을 수동으로 입력하는 방법이 있고

두번째 방법은 Import를 눌러서 conf파일을 임포트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편한 선택으로 설정을 하면 됩니다.

 

 

 

이제 가중 중요한 하단의 룰 설정 입니다.

기본적으로 룰은 Apps, Folders 그리고 IP Addresses가 있습니다.

Allow와 Disallow로 나누어 지며,

Allow는 VPN을 거처서 나가는 설정이고

Disallow는 VPN을 거치지 안는 설정 입니다.

 

Allow는

Apps와 Folders를 비워둔채로 IP Addresses에 0.0.0.0/0, ::/0를 입력하면

모든 인터넷 신호를 WireGuard VPN을 통하여 통신을 합니다.

하지만 Apps나 Folders에 설정을 하면 제일 하단의 IP Addresses는 무시하고

Apps와 Folders에 설정된 어플 혹은 폴더에서 실행되는 부분만 VPN을 이용합니다.

 

Disallow는

Allow에서 모든 인터넷 신호를 VPN거치는 설정으로 할경우

          (Allow의 IP Addresses에 0.0.0.0/0, ::/0를 설정할 경우)

VPN을 거치지 않고 다이렉트로 연결할 어플 혹은 폴더를 선택할때 사용 합니다.

 

저의 경우는 보통 어플보다는 폴더를 통채로 지정합니다.

폴더를 지정할때는 (카카오톡을 예로 듭니다.)

원하는 프로그램의 바로가기에서 오른쪽 마우스 클릭하여 속성을 눌러 줍니다.

 

 

 

그림과 같이 대상에서 “”를 제외한 나머지를 복사하여

Allow설정의 Folder에 넣어주면 됩니다.

 

 

이렇게 설정하고 가장 하단의 저장을 누르면 이제 카카오톡만 VPN을 통하여 통신을 합니다.

여러개의 어플이나 폴더를 지정할때는 콤마(,)를 이용하여 구분하면 됩니다.

 

 

이제 가장 하단의 Save를 눌러 설정을 마무리 하면 됩니다.

 

 

 

 

TunnlTo 실행

이제 모든 설정이 완료 되었습니다.

 

 

첫화면을 보면 설정에 사용한 이름이 있으며, 그아래  Disabled라고 되어 있습니다.

현재 실행을 안하는 상태이며 오른쪽의  Enable을 누르면 실행이 됩니다.

현재 화면은 카카오톡만 VPN을 통하여 분할 터널링 하는 상태 입니다.

 

TunnlTo를 통한 분할 터널링

기존의 WIREGUARD VPN클라이언트의 경우 모든 연결이 VPN을 통하여 연결되었지만 이제는

TunnlTo를 통하여 필요한 어플만 분할 터널링을 사용 하시면 됩니다.

 

WireGuard는 속도, 보안 및 단순성의 균형을 유지하는 강력하고 효율적인 VPN 솔루션입니다. 

인터넷 연결을 보호하거나, 원격으로 리소스에 액세스하거나, 단순히 최신 VPN 기술을 탐색하려는 경우 

WireGuard는 탁월한 선택입니다. 간단한 설정 프로세스와 강력한 성능을 갖춘 WireGuard는 전 세계 VPN 사용자가 선택하는 옵션으로 빠르게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 가이드를 따르면 자신만의 WireGuard VPN을 쉽게 분할 터널링 설정하여

<

p data-ke-size=”size16″>안전하고 빠르며 안정적인 인터넷 연결을 즐길 수 있습니다. 즐거운 서핑하세요!

0 0 votes
Article Rating
구독하기
Notify of
guest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0 Comments
오래된
최신 most voted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